#06 지위 게임 : 인플루언서를 모방하다 6. 인플루언서를 모방하다사람들은 은연중에 마음을 끄는 이런 행동을 배워서 자기도 서열에서 위로 올라가려 한다. 그래서 최대한 그 사람 곁에 가까이 있으려 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얻은 소중한 시간과 지식의 대가로 그 사람에게 상징적 지위를 부여한다. 명성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지위의 신호(문을 잡아주고, 특별한 위치에 앉히고, 존칭을 불러주고, 선물을 주는 신호)에 즐거워 한다. 원숭이도 지위가 높은 원숭이를 모방한다. 그러나 모든 행동을 모방 하지는 않는다. 오직 인간만이 모든 행동을 모방한다. 이것이 바로 종교부터 기업까지 수많은 지위 게임의 특징인 '신념'이라는 개념의 바탕으로 보인다. 타당하지 않더라도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신념과 행동을 모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느낄 수 있다. 모방 행동의 상.. #05 지위 게임 : 지위 게임의 세 가지 변종 5. 지위 게임의 세 가지 변종지배 게임, 도덕 게임, 성공 게임 우리가 주먹과 송곳니에서 멀어진 이유는 공동의 상상 속에서 상징으로 게임을 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상상의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얼마나 잔혹한지가 아니라 게임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점점 더 중요해졌다. 이제는 스스로 집단에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해서 명성에 따른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되어 남들에게 유익한 지식과 기술을 선보이는 방법도덕적인 사람이 되어 명성을 높여서 지위를 얻는 방법 (집단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신념이나 행동을 보여주는 방식) 명성 게임은 상징의 게임이다. 우리의 평판으로 하는 게임이다.평판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우리의 상징적 모습이다. 뇌는 이렇게 고도로 구체적인 상징.. #04 지위 게임 : 사회적 존재이기에 게임을 한다 4. 사회적 존재이기에 게임을 한다규칙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세계우리는 이런 진실 위에 무한히 다양한 상상의 게임을 구축한다.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지위'를 의미하는 상징으로 무엇을 삼을지 합의한 다음 저마다 그 상징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의 마음이 만들어낸 꿈은 이런 상징에 가치를 부여한다. 사실 인생은 상징을 중심으로 조직된 일련의 환각적 게임이다. 인생의 지위 게임도 다르지 않다. 모두가 합의하는 규칙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옳다고 배운 대로 행동하면서 규칙을 얼마나 잘 따르는지를 기준으로 우리 자신과 남들을 평가한다. 다시 말해서 지위를 측정하고 부여하고 박탈한다. 규칙은 가까운 조상과 먼 조상이 만든 것이다. 이 규칙은 DNA와 문화에 새겨져 있다. 아동기에 들어선 아이는 교사와.. #03 지위 게임 : 뇌는 우리를 영웅이라 속인다 3. 뇌는 우리를 영웅이라 속인다상징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세계 우리는 스스로 이야기속의 영웅이라 믿는다. 이것은 뇌가 우리를 위해 만들어낸 착각이다. 뇌는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만들어낸다. 다음으로 그 경험의 중심에 우리를, 자아를 놓는다. 뇌는 영웅을 만드는 장치로서 자아라는 환상과 이에 대한 흥미로운 서사를 지어내서 인생을 희망의 땅으로 가는 여정으로 설정한다. 개인적인 서사, 곧 의식 차원에서 경험하는 이질적인 부분들이 모두 엮여서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가 만들어진다. 혼돈 속에 질서가 잡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대개는 틀린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뇌는 주인이 스스로 영웅이라고 느끼게 만드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러기 위해 뇌는 우리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우리의 신념이 더 올바르고 우리의 미.. #02 지위 게임 : 어울리고, 앞서 나가기 2. 어울리고, 앞서 나가기지위 게임의 핵심은 관계다. 신념을 품고 최선을 다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고 누구든 될 수 있다고 세상은 말한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다. 우리는 부족의 일원으로 오늘을 살아간다. 우리에게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과 연결되려는 본능이 있다. 그리고 집단에 들어가서는 사람들에게 인정과 찬사를 받으려고 애쓴다. 성공에는 타인의 인정과 칭찬이 필수다. 높이 올라갈수록 살아가고 사랑하고 자손을 낳을 가능성도 커진다. 이것이 인류 성공의 핵심이다. 이것이 지위 게임이다. 사회적 동물에게 단절은 두려운 상태다. 단절은 인생이 실패했고 세상은 적대적인 곳이 되었다는 경고 신호다. 하지만 관계만으로 성공할 수는 없다. 누구나 인정받고 가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 한다. 위로 오르고 싶어 한.. #01 지위 게임 : 교도소에 쌓은 지위의 성전 1부. 집단적 존재로서의 인간1. 교도소에 쌓은 지위의 성전범죄자 벤의 두 개의 삶뇌는 스스로 삶을 구축한다. 지극히 인간적인 삶을 구축한다. "저는 종신형 재소자로서 교도소 내 서열에서 일정한 자리를 차지했어요. 교도소 변호사로서도 그랬고요. 이런 게 제게 지위를 주었어요. 하지만 밖으로 나가는 순간 다 물거품이 되는 거죠." 지위 욕구는 교묘히 정체를 숨기고 있다. 지위는 남들에게 호감을 사거나 수용되는 것과는 다르다. 관계와 연관된 별개의 욕구이다. 사람들이 우리를 추종하거나 존경하거나 추앙하거나 칭찬하거나 우리가 그들에게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끼치도록 허락해주는 상태, 이것이 지위다. 지위는 안녕감과 강력히 연결되어 있다. #00 지위게임 : (서문) 지위, 우리의 무의식을 지배하는 서문지위, 우리의 무의식을 지배하는 꿈인생은 게임이다. 게임의 숨은 규칙은 우리의 내면에 새겨져서 우리의 생각과 신념과 행동을 은밀히 조종한다. 이런 형태를 띠는 이유는 인간의 진화 과정 때문이다. 인간은 생존하고 번식하도록 설계되었다. 부족을 이루어 살아가는 종으로서 인간의 생존은 항상 공동체에 받아들여져 지원을 받는지에 달려 있다. 수용의 기쁨과 거부의 고통 두 가지 강렬한 정서가 작동한다.인간은 집단에서 위로 올라가고 싶어 한다. 위로 올라가서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삶에 의미와 목적이 있고 잘 살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관계를 맺고 지위를 얻으려 한다. 집단에 수용되고 집단 안에서 지위를 얻으려 한다. 이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이것이 인생의 게임이다. 게.. #end 물리학으로 보는 사회 : 낙원을 향하여 19. 낙원을 향하여 - 천국, 지옥, 사회 계획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낙원은 무엇일까? 어떤 세상이 살기 좋은 세상인가? 마지막 정리를 하는 장이며 이런 내용이 들어 있고 마무리를 하는 장이라 요약은 패스합니다. 앞의 내용을 이해하면 아직은 부족한 사회물리학이지만 우리가 어떤 세상을 꿈꾸며 살아가야 하는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마무리인듯 합니다. 이전 1 2 3 4 5 6 7 ··· 25 다음